[25년4월8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25년4월8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25년4월8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4월 7일(현지기준) 미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발언 여파 속 장중 급락과 반등을 반복하며 마감했습니다.

기술주 중심 반등과 CPI 대기 속 혼조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이번 주 예정된 CPI와 FOMC 의사록 발표는 향후 방향성을 가를 핵심 변수로 주목됩니다.

 

 

주요 지표 분석

25년4월7일(현지 기준) 다우 지수25년4월7일(현지 기준) 나스닥 지수
25년4월7일(현지 기준) 다우 지수 및 나스닥 지수

 

→ 다우 지수 : 장중 36,600선까지 급락 후 반등했지만 종가는 음봉 마감. 거래량 급증과 함께 5일선 이탈.

 

; 장중 급락 후 반등했지만 종가는 윗고리 긴 음봉으로 마감하며 매도 압력이 여전했습니다.

5일선 이탈과 거래량 급증은 단기적인 하방 불안 심리를 반영합니다.

 

→ 나스닥 지수 : 기술주 중심 강세로 양봉 전환에 성공. 5일선 저항 돌파 시도 지속 중.

 

; 전일 장대음봉 이후 양봉 전환에 성공하며 단기 저점 반등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쌍바닥 패턴 기반으로 5일선 돌파 시 추가 상승 여지가 열려 있습니다.

 

25년4월7일(현지 기준) S&P500 지수25년4월7일(현지 기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5년4월7일(현지 기준) S&P500 지수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S&P500 지수 : 장중 4,835선에서 반등 시도. 긴 하단 꼬리와 함께 저점 매수 유입 확인.

 

; 4,835선에서 장대 하단 꼬리 캔들이 출현하며 단기 지지선을 확인했습니다.

종가는 소폭 하락했으나 저점 대비 4.7% 반등이 의미 있는 매수 신호로 작용했습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쌍바닥 형성 후 장대양봉 반등. 반도체주 중심 수급 복원.

 

; 3,400선 쌍바닥 형성 후 장대양봉 반등이 나타나며 기술적 회복세가 뚜렷해졌습니다.

엔비디아 등 핵심 종목 중심의 수급 유입이 지수 반등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지수 종가 등락률 저점 대비 반등률 기술적 요약
다우 37,965.60 -0.91% +3.70% 기술적 반등 후 재조정. 37,500선 이탈 여부 관건
나스닥 15,603.26 +0.10% +5.54% 기술주 중심 반등 시도. 5일선 돌파 여부 주목
S&P500 5,062.25 -0.23% +4.70% 장대양봉 출현 후 눌림. 20일선 저항 테스트 구간
필라델피아 반도체 3,694.95 +2.70% +9.04% 쌍바닥 후 급반등. 반도체 중심 수급 복원

다우 지수는 장중 낙폭을 상당 부분 회복했으나 음봉으로 마감하며 5일선 저항 확인 중입니다.

 

나스닥은 기술주 반등에 힘입어 양봉 전환에 성공했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쌍바닥 패턴 이후 강한 회복력을 보였습니다.

 

증시 현황 및 섹터별 분석

11개 섹터별 퍼포먼스 분석 (출처 : Finviz)

25년4월7일(현지 기준) 11개 섹터별 퍼포먼스 분석
25년4월7일(현지 기준) 11개 섹터별 퍼포먼스 분석

 

전일 섹터별 흐름은 혼조세 속에서도 통신서비스(+0.6%)와 기술주(+0.22%)가 상대적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부동산(-2.79%), 에너지(-1.72%)는 큰 폭 하락했습니다.

 

경기방어주 및 유틸리티 섹터도 낙폭 확대가 눈에 띄며, 시장은 리스크 오프 분위기에서 기술주 중심으로 선별적 반등을 모색한 흐름입니다.

 

Finviz 히트맵 분석 (출처 : Finviz)

25년4월7일(현지 기준) Finviz 분석
25년4월7일(현지 기준) Finviz 분석

 

엔비디아(+3.53%), 브로드컴(+5.37%), 구글(+1.01%), 메타(+2.28%) 등이 강한 반등세를 이끌며 반도체 및 플랫폼 기술주가 시장을 지탱했습니다.

 

반면 애플(-3.67%)은 관세 우려로 약세를 보였고, 에너지주와 리츠섹터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3.46%), JP모건(+1.98%) 등 일부 대형은행주는 실적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Fear & Greed Index 해석 (출처 : CNN)

25년4월7일(현지 기준) Fear & Greed Index 해석
25년4월7일(현지 기준) Fear & Greed Index 해석

 

CNN의 Fear & Greed Index는 '4'로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구간에 머물렀습니다.

 

이는 시장이 여전히 전반적 불안과 관망세에 있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단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매수 주체의 확신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장 초반엔 침체 우려와 관세 불확실성으로 낙폭이 컸지만..

오히려 그 과정에서 의미 있는 저점 확인과 기술적 반등 흐름이 형성됐습니다.


특히 트럼프 관세 유예 해프닝(가짜 뉴스 해프닝)은 강한 숏커버의 계기로 작용한 점이 흥미로웠네요.

 

하루 동안 "90일 유예" → "50% 관세 경고" → 백악관의 정정 발표까지 혼란의 연속이었지만,

시장은 결국 트럼프식 협상 전술에 어느 정도 내성을 가진 모습으로 마감했습니다.

 

블랙록·JP모건 등 주요 기관들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며 목표지수를 하향 조정한 것은 분명 경계해야 할 시그널입니다.

특히 CPI 등 거시 지표 발표에 대한 민감도가 앞으로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경제 뉴스 Top10 헤드라인

  • ★ [WSJ] 트럼프, “중국산 제품에 최대 50% 관세 경고” <원문 기사 링크>
    → 관세 확대 발언으로 시장 불확실성 급등, 투자심리 위축
  • ★ [WSJ]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설 → 백악관, “가짜 뉴스” 정정 발표 <원문 기사 링크>
    → 허위 루머 유포 후 정정 발표, 장중 급등락 야기
  • ★ [Bloomberg] JP모건, S&P500 목표 하향 (6,500→5,200포인트) <원문 기사 링크>
    → 금리·성장 둔화 우려 반영해 보수적 전망 제시
  • [Reuters] 애플, 인도 생산 확대 검토…中관세 회피 전략 가속
    → 중국 리스크 회피 위한 공급망 재편 강화
  • [MarketWatch] 엔비디아, AI 클라우드 기업 ‘랩톤AI’ 인수 발표
    → AI 생태계 확장 지속, 성장 기대감 반영
  • [Barron’s] 블랙록 CEO “미국 경기 이미 침체 상태 진입했을 수도”
    → 경기 모멘텀 둔화 인식 확산, 위험자산 회피 가능성
  • [AP News] 미국 10년물 금리 5.46% 급등, 채권가격 급락
    → 금리 인상 우려 확대, 안전자산 매도세 출현
  • [Forbes] 중고차 가격, 전월 대비 -0.7%…침체 우려 다소 완화
    → 수요 둔화 속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조짐
  • [Investing.com] 테슬라, 4680 배터리 생산비 절감 효과 확인
    → 생산 효율성 향상 기대감으로 반등 시도
  • [Yahoo Finance] 웰스파고·BOA 등 은행 실적 기대감 선반영
    → 대형 은행 실적 발표 앞두고 선제적 매수 유입

 

내일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4월 10일에는 FOMC 의사록, 11일에는 CPI 지표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단기적으로 시장은 변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이슈가 반복적으로 수면 위로 떠오르며 리스크 요인이 되고 있으며, 반면 기술주 중심의 수급 회복세는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조언:
(1) 리스크 요인: 관세 정책, FOMC 의사록 내 긴축 시사
(2) 기회 요인: 기술주 반등세, AI/반도체 업종 모멘텀
(3) 전략: 비중 조절 통한 변동성 대응, 대형 기술주 위주 분산 접근

 

본 글은 투자 판단을 위한 조언이 아닌, 시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시각과 분석을 담은 의견입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다소 주관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결정에 앞서 꼭 본인의 판단 기준을 함께 고려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