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9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그야말로 기록적인 ‘급반등의 날’이었습니다.
다우, 나스닥, S&P500 등 주요 지수 모두가 7~12%대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020년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강력한 단기 랠리를 연출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돌발적인 관세 유예 발표가 변곡점 역할을 하며 장중 분위기를 180도 바꿨습니다.
여기에 기술주 중심의 쇼트커버가 더해지며, 낙폭과대 종목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매수세가 몰렸습니다.
이번 반등이 일시적인 기술적 회복인지, 혹은 시장 분위기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는 향후 며칠간의 흐름이 말해줄 것입니다.
주요 지표 분석
→ 다우 지수: 장중 급락 후 대규모 반등, 5일선 회복 시도
; 장대 양봉이 출현하며 단기 저점에서 10% 이상 급반등했습니다.
거래량 급증과 함께 5일선 재진입 시도가 있었으며, 여전히 장기 이평선(60/120일선) 하단입니다.
→ 나스닥 지수: 쇼트커버 중심 급등, 5일선 돌파 시도
; 최근 급락 이후 저점 대비 약 15% 회복하며 장대 양봉 마감. 쌍바닥 패턴 형성과 함께 기술적 반등 신호로 해석됩니다.
→ S&P500 지수: 단기 반등 흐름 가속화, 5,400선 회복
; 5일선을 돌파하고 거래량 증가가 동반된 상승세. 중장기 추세선 아래에서 박스권 탈출을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낙폭과대 반등, 쌍바닥 확인 후 V자 반등
; 3,400선 저점 이후 24% 급반등. 대형 반도체주 중심으로 쇼트커버 및 관세 이슈 완화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지수 | 종가 | 등락률 | 저점 대비 반등률 | 기술적 요약 |
---|---|---|---|---|
다우 | 40,608.45 | +7.87% | +10.92% | 5일선 회복 시도. 단기 저점 대비 기술적 반등 진행 중 |
나스닥 | 17,124.97 | +12.16% | +15.83% | 기술적 쌍바닥 반등. 중기 이평선 저항 테스트 예상 |
S&P500 | 5,456.90 | +9.52% | +12.86% | 기술적 바닥 후 반등. 20일선 접근 중 |
필라델피아 | 4,230.45 | +18.73% | +24.84% | 단기 낙폭과대 구간에서 급반등. V자 패턴 |
증시 현황 및 섹터별 분석
11개 섹터 성과 분석 (출처 : finviz)
전일 증시는 모든 섹터가 상승한 드문 사례를 보여주었습니다.
기술 섹터가 +13.68%로 선두에 섰으며, 경기소비재(+10.68%), 통신서비스(+9.39%)가 뒤를 이었습니다.
→ 대형 기술주 중심 쇼트커버와 관세 완화 기대감이 시장 전반을 견인했습니다.
산업재, 소재, 금융 섹터 등도 각각 +8% 전후의 탄탄한 상승을 보이며 전방위적 반등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리스크온(risk-on) 분위기의 복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Finviz 시가총액 Heat Map 분석 (출처 : finviz)
히트맵은 전체 시장이 ‘풀그린’으로 물들며 상승 강도가 대단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특히 애플(+15.33%), 엔비디아(+18.72%), 테슬라(+22.69%) 등의 슈퍼 대형주가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반도체, AI, 전기차, 메가테크 중심의 압도적인 쇼트커버와 수급 집중이 감지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업종에서 주요 종목들이 10% 이상 상승했으며, 이는 오랜 조정 국면에서 벗어난 초기 회복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공포·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출처 : CNN)
공포·탐욕지수는 여전히 '17' 수준으로 극단적 공포 영역에 머물고 있지만, 전날 '3'까지 떨어졌던 것을 생각하면 하루 만에 상당한 반등이 이뤄졌습니다.
이는 시장이 단기적으로 심리적 바닥을 찍고 회복의 초기 국면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안심할 수준은 아니지만, 투자자들의 불안이 다소 진정되며 리스크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로 보입니다.
미국 경제 뉴스 Top10 헤드라인
★ [WSJ] 트럼프 “일부 국가 대상 관세 90일 유예” 발표 원문 보기
→ 갑작스러운 정책 완화에 따라 기술주 중심 급등세 출현, 시장 불확실성 일시 완화
★ [Bloomberg] 엔비디아, 반도체 부문 쇼트커버 급등 원문 보기
→ 단기 낙폭과대 구간에서 기술적 반등, AI 수요 기대 지속
★ [teslarati] 테슬라, 중국 내 3월 판매 18.8% 증가 원문 보기
→ 쇼트커버와 실적 기대감이 결합되어 22% 폭등
[MarketWatch] 애플·아마존 등 메가테크 쇼트커버 지속
→ 기술 섹터 중심의 광범위한 반등세 확인
[Reuters] JP모건 등 대형 은행주 실적 기대감 확대
→ 실적 시즌 돌입 전 선제 매수세 유입
[AP News] CPI 발표 앞두고 인플레 둔화 기대 지속
→ 유가 하락 영향으로 헤드라인 물가 하락 기대
[Barron's] 빅스지수, 33선까지 하락
→ 공포심리 완화, 리스크온 전환 단서
[Investing.com] 브로드컴, 1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
→ 투자자 신뢰 회복, 18% 상승 견인
[Yahoo Finance] 항공주, 델타 실적 호조로 일제 급등
→ 경기침체 우려 완화와 함께 수요 회복 기대
[Forbes] Fed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완화
→ 5월 인하 기대 약화, 6월 인하 확률 확대
하루 만에 지수가 이렇게까지 오른 날은 드물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유예 발표가 직접적인 촉매였지만..
최근 과도한 낙폭에 대한 기술적 반등 심리도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시장이 아직 완전히 안심할 수 있는 국면은 아니지만,
심리적 저점에서의 반등 신호로 해석해볼 여지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다만 이런 급등 구간에서는 공격적인 ‘추격’보다는 ‘전략적 대응’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내일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전망
현지기준 내일(4월 10일) 발표 예정인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시장 방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가 하락과 전년 기저효과로 인해 헤드라인 인플레는 2.6%대로 둔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일 급반등의 연속성은 기술적으로 저항권 테스트 구간으로 진입하는 모습입니다.
투자 조언
리스크 요인: CPI 발표 결과가 예상보다 높을 경우 재차 하락 압력. 관세 정책의 재변경 가능성도 부담 요소.
기회 요인: 메가테크 중심 쇼트커버 지속, 인플레 완화 기대에 따른 Fed 금리 인하 기대.
대응 전략: 기술주 비중을 유지하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분산 전략 필요. 단기 급등 종목군은 일부 차익 실현 고려.
본 글은 투자 판단을 위한 조언이 아닌, 시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시각과 분석을 담은 의견입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다소 주관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결정에 앞서 꼭 본인의 판단 기준을 함께 고려해 주세요.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4월12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4) | 2025.04.12 |
---|---|
[25년4월11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0) | 2025.04.11 |
[25년4월9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0) | 2025.04.09 |
[25년4월8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0) | 2025.04.08 |
중국의 희토류 제재, 미국과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