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4월4일]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2025.04.04.]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2025.04.04.]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 전망 (다우,나스닥,S&P500,섹터 분석 및 주요 뉴스)

 

 

 

4월 3일(현지기준) 미국 증시 요약: 관세 충격에 기술주 직격탄… 필라델피아 반도체 -9.88%

 

트럼프 관세 충격으로 미국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나스닥은 6% 가까이 빠졌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9.88% 폭락하며 기술주 전반에 충격이 확산됐습니다.

 

주요 기술적 분석과 섹터별 흐름을 정리해드립니다.

 

 

주요 지표 분석

25년4월3일 다우 지수25년4월3일 나스닥
25년4월3일 다우 지수 및 나스닥

 

→ 다우 지수는 장대 음봉(-3.98%)을 기록하며 5일선과 20일선을 동반 이탈했고, 60·120일선과의 이격도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전일 고점 대비 급락하며 40,500선 전저점 지지를 시험했고, 거래량이 뚜렷하게 증가해 투매성 매도세가 확인됐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5.97% 급락과 함께 장대 음봉을 형성하며, 3월 중순 저점 구간을 완전히 하회했습니다.

5·20일선이 하방으로 꺾였고, 쌍바닥 패턴 시도가 실패하면서 기술주 중심 매도 압력이 전면화된 흐름입니다.

 

25년4월3일 S&P50025년4월3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5년4월3일 S&P500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P500 지수는 5,400선 붕괴와 함께 -4.84% 하락 마감, 단기 박스권 하단 이탈을 동반한 하락 전환이 확인되었습니다.

5·20일선 이탈은 물론, 60일선까지 위협받는 구간에 진입했으며, 거래량 역시 증가해 수급 이탈이 본격화된 양상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9.88% 하락으로 거의 하한가 급 낙폭을 기록, 3,900선 주요 지지선이 무너지며 기술적 매물대가 붕괴되었습니다.

지수 종가 등락률 저점 대비 반등률 기술적 요약
다우 40,545.93 -3.98% +0.08% 5·20일선 하회하며 장대 음봉. 단기 하방 압력 지속
나스닥 16,550.61 -5.97% +0.11% 쌍바닥 실패. 기술주 투매 본격화, 하락세 가속
S&P500 5,396.52 -4.84% +0.11% 박스권 하단 이탈. 거래량 증가 속 매도세 확대
필라델피아 3,893.69 -9.88% +0.10% 지지선 붕괴, 데드크로스 지속. 매도 클라이맥스 가능성

 

증시 현황 및 섹터별 분석

11개 섹터별 1일 성과 요약 (출처: finviz)

25년4월3일 11개 섹터별 1일 성과 요약
25년4월3일 11개 섹터별 1일 성과 요약

 

기술 섹터(-7.0%)가 낙폭을 주도한 가운데, 에너지(-6.3%), 소비재(-6.2%)도 크게 하락했습니다.

반면 필수소비재(+0.49%)와 유틸리티는 방어주로 선방. 경기침체 우려와 관세 이슈가 겹치며 전반적 리스크 오프 전개가 확인됐습니다.

 Finviz Heat Map 분석 (출처: finviz)

25년4월3일 Finviz Heat Map 분석
25년4월3일 Finviz Heat Map 분석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 대부분이 하락했으며, 애플(-9.25%), 아마존(-8.98%), 메타(-8.96%) 등 빅테크 중심으로 매도세 집중. 반도체 섹터도 Broadcom(-10.51%), NVIDIA(-7.81%) 등 급락.

단, 유틸리티 및 헬스케어 일부 종목은 방어주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공포·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출처: CNN)

25년4월3일 공포·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25년4월3일 공포·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CNN의 공포·탐욕 지수가 8까지 하락하며 2022년 이후 최저 수준 도달. 극단적 공포 구간 진입은 과매도 가능성도 시사하나, 단기 반등보다는 리스크 지속 여부를 지켜볼 시점입니다.

 

미국 경제 뉴스 Top10 헤드라인

  • ★ 트럼프 “전면적 관세 부과”…글로벌 무역 충돌 본격화 (Reuters) 
    →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 관세 부과 예고, 中·EU는 최고 65%까지 인상 <원문 기사 링크> 
  • ★ S&P500 -4.8%, 나스닥 -6%…팬데믹 이후 최대 낙폭 (AP News)
    → 기술주 중심 매도세 확산…시가총액 2조 달러 증발 <원문 기사 링크>
  • 중국 “보복 관세 불가피”…美-中 무역전쟁 재점화 경고 (CNBC)
    → 대두·항공기 등 핵심 수입품 타깃, 美 소비시장 압박 예고
  • Fed 제퍼슨 “당장 금리 변경 계획 없어”…관세 효과 평가 중 (Reuters)
    → 통화정책 유지 기조 재확인…시장 기대와 온도차
  • 美 ISM 서비스업지수 50.8로 예상 하회…고용지수 급락 (MarketWatch)
    → 고용 부문 46.2까지 떨어져 경기 둔화 우려 확대
  • Weekly Jobless Claims 21.9만 건…예상(22.5만)보다 개선 (Bloomberg)
    → 실업 청구는 개선됐지만, 지속 청구자 수는 증가
  • 브렌트유 $69.95로 6.7% 급락…수요 둔화+달러 약세 영향 (OilPrice)
    → 원유 시장도 경기 둔화 리스크 반영 시작
  • Barclays “미국 침체 가능성 54%”…전망 상향 조정 (Reuters)
    → 경기 둔화 + 통상 리스크 동시 반영한 모델 경고
  • 엔비디아·브로드컴·마이크론 등 반도체주 급락…SOX -9.88% (Yahoo Finance)
    → 중국·동남아 대상 관세가 수출 기반 기업에 직접 타격
  • Fear & Greed Index, 8 기록…2022년 이후 ‘최악’ 심리 (CNN Business)
    → 극단적 공포 수준 도달, 기술적 반등 대비 시점 주목

 

VIX 지수가 29.29까지 치솟으며 시장 전반에 '투매' 분위기가 짙게 깔렸습니다. 체감상, 투자자들이 일제히 손을 털고 나가는 ‘캐피튤레이션’ 장세로 보입니다.

 

관세 이슈 외에도 ISM 서비스업 지수가 50.8로 급락하고,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증가하면서 ‘경기 꺾이는 거 아니야?’라는 불안이 커지고 있는 듯합니다.

 

숫자보다 더 중요한 건, 이 숫자들이 투자 심리에 어떤 파장을 주느냐겠죠...

 

트럼프 상호 관세 여파에 대한 네이버 헤드라인 뉴스
트럼프 상호 관세 여파에 대한 네이버 헤드라인 뉴스

 

내일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내일 시장은 기술적 반발 매수 가능성과 더불어, 중국의 보복 관세 여부 및 연준 위원 발언 등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 리스크 요인: 관세 충돌 장기화, 중국 보복 시나리오, ISM 부진 여진
✅ 기회 요인: 극단적 공포 지표, 기술적 과매도 구간 진입
✅ 전략: 방어주 비중 확대 및 기술주 저가 분할매수는 신중하게 접근

 

본 글은 투자 판단을 위한 조언이 아닌, 시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시각과 분석을 담은 의견입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다소 주관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 결정에 앞서 꼭 본인의 판단 기준을 함께 고려해 주세요.
반응형